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MBTI 성격유형별 의복관여와 정보원 사용의 차이를 밝히는 것으로써 선호지표별 차이를 밝힐 뿐 아니라 성격지표 간 억동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성격유형은 표준화된 MBTI 검사로 측정되었고 의복관여와 정보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문지를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부산에서 2001 년 1 월과 2월 중에 실시되었던 MBTI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했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되었다. 최종 분석에 투입된 자료는총 275 부이고, 자료분석은 윈도우용 SPSS 10.0K 프로그램올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빈 도분석, 요 인 분석, t-test, one-way ANOVA, 던 컨 겁 정 이 사용되 었 다. 첫째, 의복관여는 ‘상징적 표현성’,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으|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선호지표 중 외향형 (E) 이 내향형(1)보다 감정형 (F)이 사고형 (T)보다 유의하게 유행관여가 높았다. 기능유형 (ST, SF, NF, NT)에서 직관적 사고형 (NT) 이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 관여에 유의하게 관심이 낮은 집단이었고 감각적 감정형 (SF)과 직관적 감정형 (NF)은유의하게 높은 집단이었다. 둘째, 소비자가 사용하는 의복 정보원은 ‘인쇄매체’, ‘전파매처|’, ‘전문적’, ‘점포탐색‘ 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MBTI 선호지표 중 외향-내향(EI) 지표만 ’인쇄매체‘ 사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인쇄매체의사용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쇄매체를 제외한 정보원에서 성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 평균값 경향에서 감각형 (S)이 직관형 (N)보다, 감정형 (F) 이 사고형(T), 판단형 (J) 이 인식형 (P)보다 전체 정보원 사용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1]
Stephen J. Gould,et al.
Jungian Analysis and Psychological Types: an Interpretive Approach to Consumer Choice Behavior
,
1991
.
[2]
Deanna J. Radeloff.
Psychological Types, Color Attributes, and Color Preferences of Clothing, Textiles, and Design Students
,
1991
.
[3]
Rita C. Kean,et al.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to Assess Student Needs
,
1988
.
[4]
S. Gould.
The Self-Manipulation of My Pervasive, Perceived Vital Energy through Product Use: An Introspective-Praxis Perspective
,
1991
.
[5]
J. Jacoby,et al.
Consumer Behavior
,
2024
.
[6]
Jane Boyd Thomas,et al.
Underlying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 in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
1991
.
[7]
P. Kotler.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
19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