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서술된 내러티브 텍스트 분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러티브 텍스트 형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6종의 과학 교과서의 에너지 관련 단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에너지와 문명’, ‘에너지 문제 와 미래’ 중단원의 영역별 내용에 따라 내러티브 텍스트의 출현 여부를 살펴보고, 내러티브 요 소 분석틀에 의해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진술방식은 설명적 텍스트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약 10% 미만의 빈도로 내러티브 텍스트가 진술되었다. 그리고 내러티브 텍스트는 동기 유발을 위해 도입 분분에, 개념이해를 돕기 위해 본문에 진술되었다. 또, 내러티 브 텍스트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나 현재의 일상생활의 경험을 소재로 저자가 묘사하거나 서 사하는 방법으로 진술되었다. 결론적으로 아직 내러티브 텍스트는 과학 교과서에 많이 나타나 지 않으며, 교육과정 개발시 고려했던 ‘우주와 생명의 역사를 통하여 스토리 식으로 자연의 원 리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