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ter: Association of the Parathyroid Adenoma Volume and the Biochemical Parameters in Primary Hyperparathyroidism (Endocrinol Metab 26:62-66, 2011, Yul Hwang-Bo et al.)

단일 부갑상선 선종은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서 선종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상의학적, 핵 의학적 진단 방법이 이용되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술 중에 부 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을 측정하기도 하지만 완벽하지는 않으며 정확한 병소 확인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들이 있 습니다.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에서 기본적으로 측정되고 있는 혈청 칼슘, 인산, PTH 등이 선종의 크기를 잘 예측할 수 있다면 진단 및 치료 과정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그 동안 시행되어 온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이러한 생화학적 지표들과 선종의 크기와 의 관련성이 일정치 않게 보고되고 있습니다[1-3]. 이러한 측면에서 26권 1호에 발표된 Hwang-Bo 등[4]의 논문은 이 러한 생화학적 지표들과 선종의 크기와의 관련성을 확인함에 있어 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기존의 연구들에 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선종의 병리학적 변화의 존재를 고려하였고, 낭종성 변화 등이 있을 경우 생화학적 지표들이 선종의 크기를 예 측하는데 있어서 제한 점을 가지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 대해 한두 가지 궁금한 사항에 대해 문의 드리고자 합 니다. 우선, 본 연구에서 낭종성 변화를 어떻게 정의하셨는지요? 낭 종성 변화는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느 특정 크기 이상을 낭종성 변화로 포함시키셨는지 아 니면 작은 낭종성 변화도 모두 포함을 시키셨는지요? 또한 수술 이 후의 병리학적 소견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수술 전의 영상검사에 의 해서도 어느 정도 이러한 예측이 가능할지 궁금한데 혹시 수술 전 시행한 초음파나 CT 등으로 측정한 선종의 크기와 생화학적 지표 들간의 연관성도 확인을 하셨는지요? 그리고 대상군 전체에서 혈청 인산과 선종의 크기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온 점이 다른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없었던 결과로서 논문에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고 언급을 하셨는데 혹시 이런 결과에 대해 추가적으로 가능한 해석이 있으신지요? 새로운 관점에서 단일 부갑상선 선종의 크기와 생화학적 지표와의 관련성에 대해 좋은 연구결과를 발표해주셔서 깊은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