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첨가 녹차마늘 페이스트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마늘 고유의 독특한 맛과 냄새로 인한 관능적 품질 저하로 식품산업에서 마늘의 활용성 감소를 개선하고, 현대인의 부족한 칼슘섭취를 보완해 줄 영양성과 기능성을 더욱 부각시킨 마늘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녹차, 숯과 마늘을 고온고압 가열처리한 뒤 탄산칼슘,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칼슘믹스, 칼슘파우더를 2% 첨가하여 칼슘첨가 녹차마늘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평가하였다. 탄산칼슘, 칼슘믹스, 칼슘파우더를 첨가했을 때 pH 증가와 적정산도의 감소폭이 커졌으며, 점도 역시 칼슘을 첨가했을 때 높아졌다. 당도는 칼슘 첨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색도는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p<0.05). DPPH radical 소거능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에서는 칼슘을 첨가했을 때 증가하여 칼슘이 산화를 방지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점 척도법으로 마늘맛과 마늘 냄새 특성에 대한 강도검사를 실시한 결과 마늘 냄새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5.3점, 탄산칼슘 2.6점, 젖산칼슘 3.2점, 구연산 칼슘 2.2점, 칼슘믹스 4.3점, 칼슘파우더 4.1점이며, 마늘 맛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5.1점, 탄산칼슘 3.0점, 젖산칼슘 3.5점, 구연산칼슘 3.2점, 칼슘믹스 3.5점, 칼슘 파우더 3.4점으로 나타나 탄산칼슘과 구연산 칼슘을 첨가 했을 때 마늘의 고유의 매운 맛과 향이 적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칼슘첨가 녹차 마늘 페이스트는 관능적 품질과 기능성을 높인 마늘첨가 가공제품의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1]  최상원,et al.  뽕나무(Morus alba L.) 열매 오디를 이용한 고품질의 가공식품 제조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 분석 , 2010 .

[2]  C. Rice-Evans,et al.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 1999,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3]  Hui-Wan Lee,et 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Morus) Fruit with Varietes , 1998 .

[4]  Sang-Woon Choi,et a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Mulberry (Morus spp.) Cake , 2005 .

[5]  Sang-Woon Choi,et al.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beta-D-glucoside and cyanidin , 1994 .

[6]  Dong Han Kim,et al.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 2006 .

[7]  B. Jung,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s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 2010 .

[8]  Hyun-Joo Bae,et a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 2010 .

[9]  이경애,et al.  새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발효특성 , 2009 .

[10]  Yong-Kwan Kwon,et al.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Flavonoid in Mulberry (Morus sp.) Cultivars , 2004 .

[11]  Mi‐Hye Lee,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 2006 .

[12]  E. LaVoie,et al.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 1998 .

[13]  Yun-Ju Kwon,et al.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repared from Mulberry (Morus spp.) Fruit , 2005 .

[14]  H. Yook,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 2009 .

[15]  V. L. Singleton,et al.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 1965, American Journal of Enology and Viticulture.

[16]  Y. Choi,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 2009 .

[17]  J J Strain,et al.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 1996, Analytical biochemistry.

[18]  Sang-Woon Choi,et al.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on Blood Glucose and Lipid Lowering and Erythrocy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2007 .

[19]  박금순,et al.  오디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 2008 .

[20]  W. Kang,et al.  Effect of Rice Bra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 2010 .

[21]  Park Bock-Hee,et al.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 2005 .

[22]  E. Lim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Enteromorpha intenstinalis , 2008 .

[23]  Youngsoo Kim,et al.  Oxyresveratrol and Hydroxystilbene Compounds , 2002,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  H. Seo,et 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 2007 .

[25]  Soo-Jung Lee,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