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초록의 현황과 내용 분석 -사회과학분야 저자초록을 중심으로-
暂无分享,去创建一个
초록작성의 현황을 이해하고 초록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회과학 분야의 전국규모 학술지를 대상으로 현황조사와 내용분석을 하였다. 12개 학문 102종의 학술지 중에서 $53\%$ 에 해당하는 54종이 초록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34종이 초록관련 편집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33종이 한글초록을 수록하고 있었다. 조사에 근거하여 초록작성이 일상화된 4개 학문의 중앙학술지를 선정. 149개의 초록을 표집하여 6개의 통계적 특성 변인과 12개의 필수내용요소 불필요한 내용요소 문체적요소 변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특성은 학문별로 다양하고 범위가 크다. 특히 초록당 평균 문단 수와 자수가 기존의 규격과 크게 차이가 있다. 내용분석 결과 $50\%$ 가 필수내용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39\%$ 는 불필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문체적 분석에서는 불필요한 1인칭 상당어귀와 대명사의 남용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났다. 사회과학 학술지의 저자초록은 외형적 구조에서뿐만 아니라 내용과 문체 면에서도 크게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s of abstracting and to investigate contents of abstracts, a survey content analysis was done in the field sciences. Of the 102 nation wide scholarly journals examined $54(53\%)$ included abstracts with articles. 33 had abstracts in Korea Among the 34 journals with editorial statements about abstracting only 13 had suggestions about abstract conten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4 disciplines having abstracts mostly was selected and 149 abstracts in the 4 major journals in each discipline were sampled. Complete abstracts were ama;uzed according to 12 variables covering required content elements, unnecessary statements, and writing style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bstracts is varied among disciplines and the scope is very wide. Particularly number of paragraph and number of character per abstract is much different from the standards. The content analysis showed $51\%$ of the abstracts were incomplete. $39\%$ of the abstracts did not mention research method used. 59 abstracts included unnecessary statements. Writing stle analysis also showed many faults both in the pronoun abuse and the misuse of voice or tense. Korean author abstracts in social science scholarly journals have deficiencies in linguistic structures as well as in contents and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