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모양각막염의 발생에 건성 각결막염과 각막의 폐쇄가 미치는 영향의 비교

목적: 실모양각막염의 발생에 건성 각결막염과 각막의 폐쇄가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실모양각막염 환자 중 안검경련, 안검하수, 마비성 사시로 인해 각막폐쇄를 가진 11안, 건성각결막염으로 발생한 11안,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갖는 13안에서 세극등 현미경으로 사상체의 숫자를 기록하고, 니트로셀룰로스막을 이용하여 일부의 사상체를 채취하여 뮤신 함유량에 따라 1(없음)-4(매우 많음)로 분류하고, H&E와 면역염색(AE1/AE3, MUC1, 5AC, 16)을 실시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의 폐쇄만을 보인 환자군(11안)의 평균 사상체 수는 2.7 ± 1.4개로 건성각결막염만 가진 환자군(11안)의 평균 사상체 수(5.1± 2.2개, p=0.009)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수의 사상체가 관찰되었다. 뮤신의 함유량은 각막의 폐쇄를 가진 환자군(2.7 ± 0.9)이건성각결막염 환자군(1.9 ± 0.8, p=0.034)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병리검사상 사상체의 중심섬유는 핵과 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은 화생된 각막상피세포가 벽돌처럼 정렬되어 있고 피질은 전혀 염색되지 않았으며 섬유주변은 뮤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결론: 각막패쇄로 발생된 실모양각막염은 건성각결막염에 의한 경우보다 사상체의 수가 적고 뮤신의 함유량이 많으므로 치료에 있어 고려해야 할 것이다.

[1]  S. Kinoshita,et al.  Investigation of the corneal filament in filamentary keratitis. , 2009,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  Rebecca Diller,et al.  A case report and review of filamentary keratitis. , 2005, Optometry.

[3]  A. Lenton,et al.  Management of Filamentary Keratitis Associated with Aqueous-Deficient Dry Eye , 2003,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Academy of Optometry.

[4]  I. Gipson,et al.  MUC16 mucin is expressed by the human ocular surface epithelia and carries the H185 carbohydrate epitope. , 2003,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  J. Baum,et al.  The Castroviejo Lecture. Prolonged eyelid closure is a risk to the cornea. , 1997, Cornea.

[6]  J. Whitcher,et al.  Filamentary keratitis caused by corneal occlusion in large-angle strabismus. , 1992, Ophthalmic surgery.

[7]  A. B. Scott,et al.  Botulinum A toxin injection as a treatment for blepharospasm. , 1985, Archives of ophthalmology.

[8]  T. Wood,et al.  Punctal occlusion in tear deficiency syndromes. , 1982, Ophthalmology.

[9]  R. Farris,et al.  Osmolarity of tear microvolumes in keratoconjunctivitis sicca. , 1978, Archives of ophthalmology.

[10]  M. Absolon,et al.  Acetylcysteine in kerato-conjunctivitis sicca. , 1968,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11]  R. Berke CONGENITAL PTOSIS: A Classification of Two Hundred Cases , 19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