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철도 2호선 외선구간(사당~삼성)은 최대 혼잡 구간으로써 수요대비 수송용량의 한계를 넘어 일부 구간이 오전 첨두시에 혼잡도 200%에 이를 정도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차내 혼잡도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승객들 간의 신 체접촉 및 범죄의 가능성이 증가하여 쾌적성이 나빠지며, 승 객의 무리한 초과 탑승으로 인해 승하차 시간이 지연되어 후 행하는 차량의 운행에도 영향을 주게 되며 전체적인 수송용 량이 저하되는 등의 운영측면에서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철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도시철도의 혼잡도를 분석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 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2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한 방 안의 하나로써 승객 OD분석을 통하여 2호선 외선 이용자 중 삼성역 전·후 목적지를 가진 승객을 분리 유도하여 혼 잡구간의 혼잡도를 개선하는 통행수요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대안은 영국의 사례와 같이 물리적 으로 노선의 단절로 인한 환승 불편을 가져오지 않으므로 큰 폭의 혼잡도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소폭의 혼잡도 개 선으로도 승객들의 단위공간 당 탑승인원이 줄어들어 쾌적 성을 좀더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대 안의 효과분석은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2호선 승객OD분석 및 OD분리유도 방안에 따 른 혼잡도 개선효과를 교통카드 OD분석을 통하여 제시하도 록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열차 혼잡도에 대한 선행연구 및 사례를 살펴보고 혼잡도와 승객의 스트레 스의 관계를 정의하며 2호선 혼잡현황을 분석한다. 3장에서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policy for urban railway travel demand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decrease the load factor of the Seoul metro Circle line, particularly for the segment between Sadang and Samsung stations, through analyzing the transit smart card data. We propose mixed train operations of the existing Circle line and a line that goes toward Samsung station in order to transport passengers that have two distinct groups: those with the destination of Samsung station and those with destinations after Samsung station. The introduction of a mixed train operation that encourages passengers passing through Samsung station to take a Circle line train will decrease the congested load factor by 11.3% during the morning peak hours using the mixed train operation of the Circle and Samsung lines. This policy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decrease the load factor and improve the comfort of rail passengers without extra investment in the railway facilities.
[1]
R. Prud’homme,et al.
Public transport congestion costs: The case of the Paris subway
,
2012
.
[2]
Seungil Lee,et al.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rowding Degree in the Subway Train Considering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Network and the Land Use of Its Catchment Area
,
2014
.
[3]
Leonard M. Freeman,et al.
A set of measures of centrality based upon betweenness
,
1977
.
[4]
U. Lundberg.
Urban commuting: crowdedness and catecholamine excretion.
,
1976,
Journal of human stress.
[5]
Dae-Sung Kim,et al.
Evaluation of Metro Service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A Case Study of Incheon Line 1)
,
2012
.
[6]
John M. Rose,et al.
Crowding in public transport systems: Effects on users, oper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estimation of demand
,
2013
.
[7]
Tom Cox,et al.
Rail passenger crowding, stress, health and safety in Britain
,
2006
.
[8]
Yeonggyeong Kang.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rowding Degree in the Subway Train Considering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Network and the Land Use of Its Catchment Area
,
2014
.
[9]
Bo Shelby,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crowding in multiple locations: Results from fifteen years of research
,
19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