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의 크기와 위치 및 두개안면골격이 치열공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뚜렷한 국소적 요인없이 상악이나 하악 또는 상하악 모두에서 전반적인 공극을 보이는 55명과 상하악에서 심한 총생을 보이는 32명을 선정하여 혀크기 및 위치를 계측비교하고, 이 중 상하악 모두에서 전반적인 공극을 보이는 군을 대상으로 두개안면골격 및 치열궁 크기를 계측하여 총생치열군과의 차에 대한 유의성 검정 및 혀와 두 개안면골격 그리고 치열궁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혀의 길이는 상악공극치열군이 가장 컸고 총생치열군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혀의 위치는 상악공극치열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생치열군, 상하악공극치열군, 하악공극치열군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혀의 면적은 상악공극치열군에서 가장 컸고 상하악공극치열군, 총생치열군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2. 두개안면골격 및 치열궁 크기 비교에서 공극치열군이 총생치열군에 비해 상하악체 길이, 후두개저 길이, 후안모고경, 두개안면폭경 그리고 모든 치열궁 계측항목이 더 크게 나타났다. 3. 치열궁 크기에 미치는 혀의 영향은 공극치열군에서 총생치열군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혀의 면적은 상하악 구치간 폭경과 기저골 폭경에, 혀의 길이는 상악 견치간 폭경과 하악 치열궁 장경에, 혀의 고경은 상악 치열궁 장경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치열궁 크기에 미치는 두개안면골격의 영향에서는 두 군 모두 interjugal width, interantegonial width가 치열궁 폭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공극치열군에서의 상관성이 더 높았다. 5. 공극치열군에서는 혀의 길이와 면적이 interjugal width에, 혀의 고경은 후안모고경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생치열군에서는 혀의 길이가 interincisal angle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개안면골격에 미치는 혀의 영향이 공극치열군에서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이었다. 4. 왜소치는 $15.8\%$ 에서 발견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 와 상악 견치에서 가장 많았다. 순구개열군별왜소치의 발생율은 구순치조열군, 구순구개열, 구순열의 순이었다. 그리고 구개열군에서는 왜소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작은 군(S군)사이에 수평적 골격관계는 차이가 없으나 수직적 골격관계는 L군이 S군에 비해 하악골이 하방으로 많이 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성인 남자군인 G2군에서는 이부비율에 따른 안면골격의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교하면 bisphosphonate는 indomethacin에 비해 골흡수 억제효과가 더 크며 투여시간에 따른 제약도 더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ubstance P는 인간의 치주인대세포에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과는 procollagen mRNA와 gelatinase 생성의 정상(steady-state) 수준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과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EX>는 골기질의 주성분인 type I 교원질의 합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골개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정치료 과정중 골개조를 억제하는 부위에서 사용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신뢰구간은 상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5-81.0\%$ , 비발치군은 $81.6-84.9\%$ , 발치군은 $70.1-72.2\%$ 로 나타났으며, 하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8-82.2\%$ , 비발치군은 $82.1-85.5\%$ , 발치군은 $73.1-75.1\%$ 로 나타났다. 7. 최대치아근원심폭경합, 기저악궁폭경, 기저악궁장경, 최대치아근원심폭경 합에 대한 기저악궁폭경 비, 최대치아근원심폭경 합에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ize and posture of tongu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on spaced dentition and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tongue size, craniofacial skeleton and dental arch size in generalized spaced and crowded group. The sample consisted of four groups, the 36 subjects of generalized spaced group(maxillary and mandibular spaced group), the 11 subjects of maxillary spaced group, the 8 subjects of mandibular spaced group and the 32 subjects of crowded group. Tongue size were measured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craniofacial skeleton were meaured on the lateral and P-A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dental arch size were measured on study casts. These data from lateral & P-A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study cas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measu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Length of the tongue was the largest in maxillary spaced group and the smallest in crowded group. posture o』 the tongue was the highest in maxillary spaced group andthe lowest in mandibular spaced group. Area of the tongue was larger in spaced group than in crowded group. 2. In comparison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and dental arch size, generalized spaced grouphad larger Mx. length, Mn. length,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craniofacial width anddental arch than crowded group 3. The effect of the tongue on dental arch were larger in spaced group than in crowded group 4. In both groups, interjugal width and interantegonial width had large effect on dental archwidth, especially spaced group had higher correlation than crowded group 5. The effect of tongue on craniofacial skeleton were expected larger in spaced group than in crowded group, especially interjug al and interantegonial width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length, posture and area of ton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