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age Response of 'Kamchun' and 'Chuhwang' Pears by Harvest Dat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orage potential of recently developed oriental pears, ‘Kamchun’ and ‘Chuhwang’.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of ‘Kamchun’ pears was above 13.2% but the acidity was below 0.082% at three harvest dates. Although skin browning disorder did not occur in ‘Kamchun’, about 40% of fruits were affected by core breakdown especially when harvested after middle of October. In contrast, flesh browning was also observed in early harvested fruit. Flesh firmness of ‘Chuhwang’ was higher than that of ‘Kamchun’ at harvest as well as after storage. The acidity of ‘Chuhwang’ was constantly higher than that of ‘Kamchun’. Severe skin browning (approximately 80%) occurred in ‘Chuhwang’ pears regardless of harvest dates. Also, more flesh browning disorder was found in fruit harvested early in the seaso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date of both cultivars and postharvest managements to inhibit the physiological disorders. Additional key words: core breakdown, internal browning, Oriental pears, physiological disorder, skin browning ※ Received for publication 23 October 2000. Accepted for publication 10 February 2001.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1994. 서 언 배 ‘신고’는 그동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 품종으로서 자리잡 아 전체 배 재배면적의 73%를 차지하는 등 생산과잉의 문제가 나 타나고 있어 새로운 대체 품종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감천’은 1970년에 과수연구소에서 ‘만삼길’에 ‘단배’를 교배하여 1990년에 선발한 품종으로 숙기는 10월 중순으로 만숙, 대과종(600g)이며 당도가 높고 산미는 극히 적어 식미가 우수하나 적숙기에도 과피에 엽록소가 남아 있는 단점이 있다. ‘추황’은 1967년에 과수연구소에 서 ‘금촌추’에 ‘이십세기’를 교배하여 1985년에 선발한 품종으로 숙 기는 10월 중순으로 만숙종이며 과실크기는 400g 내외의 중과종으 로 당도가 높고 식미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과피흑변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품종해설집, 농촌진흥청). 과실의 수 확시기는 수확 후 품질과 저장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동양배에 서 흔한 생리적 장해는 과피흑변, 과심 및 과육 갈변 등의 장해가 발견된다. 수확시기에 따라서도 장해 발생에 차이를 나타내는데 ‘신고’의 경우 조기 수확한 과실에서 흑변 장해가 많이 발생한다고 한 반면(Choi 등, 1995) ‘금촌추’ 품종에서는 이와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Kim, 1975). 또한 저장 중 과심 또는 과육에 갈변 등 의 장해가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흔하다(Lee 등, 1992).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한 신품종 배에 대하여 수 확시기에 따른 저장반응과 품질을 조사함으로써 이들 신품종의 이 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하고자 실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