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ing factors in the halitosis

구취란 숨을 쉬거나 말할 때 입을 통해 나오는 불쾌한 냄새를 말한다. Murata 등은 구취를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범 위를 넘어선 진성구취증과 타인에게는 인식되지 않고 자신에게만 인식되는 가성구취증, 그리고 구취에 대해 염려하는 구취공포증 으로 분류하였다. 구취의 유병율은 유사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미국치과의사협 회는 미국 성인의 25% 정도가 만성적인 심한 구취감을 느낀다고 하였고, 브라질에서는 31%가 가족 구성원 중 한 명 이상에게서 구취를 느끼며 이 중 24%는 구취로 인해 가족과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불편감이 있다고 하였다. 구취측정기를 이용한 결과 중국인 의 20-35%, 일본인의 20%에서 기준치 이상의 구취농도가 검 출되었고, 한국에서는 25.9%를 나타냈으나 구취치료를 희망하는 사람은 이보다 많은 54.2%라고 하였다. 이는 진성구취증 외에도 가성구취증과 구취공포증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구취가 보편적인 문제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일본에서 구취를 호소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리 상 태를 연구한 결과, 가성구취증이 42.9%로 진성구취증(20%)보다 높았으며, 신경질적인 양상은 진성구취 군에서 나타났고, 생리구 취 군은 진성구취 군보다 높은 우울증을 나타냈다고 하였다. 구 취를 가진 사람은 상대방이 자신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될 것을 염 려하므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고, 정상적인 대인관계 와 사회생활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 닌 사회적인 문제로 고려되어야 한다. 구취는 휘발성 황 화합물(Volatile Sulphur Compounds;

[1]  T. Tomofuji,et al.  T E C H N I C a L a D V a N C E Open Access , 2022 .

[2]  F C Groppo,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volatile sulphur compounds, tongue coating and periodontal disease. ,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al hygiene.

[3]  안용우,et al.  전신질환과 구취의 휘발성 황화합물 상관관계 , 2009 .

[4]  N. Suzuki,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oral malodour. , 2009,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5]  T. Ueda,et al.  New method for evaluation of tongue-coating status. , 2007,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6]  A. P. D. Ponce de Leon,et al.  Oral malodour and its association with age and sex in a general population in Brazil. , 2007, Oral diseases.

[7]  Sung-Jo Kim,et al.  The effect of a full mouth disinfection on oral malodor i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 2006 .

[8]  W. Siqueira,et al.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outh-breathing in some parameters of unstimulated and stimulated whole saliva of adolescents. ,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9]  K. Yaegaki,et al.  Oral malodor-related parameters in the Chinese general population. , 2006,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10]  박준상,et al.  [ORAL MEDICIME]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 , 2004 .

[11]  N. Hanada,et al.  Relationship between volatile sulphide compounds concentration and oral bacteria species detection in the elderly. , 2004,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12]  J. Greenman,et al.  Study on the Organoleptic Intensity Scale for Measuring Oral Malodor , 2004, Journal of dental research.

[13]  K. Yaegaki,et al.  Classification and examination of halitosis. , 2002,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14]  C. Dahlöf,et al.  Prevalence of perceived symptoms of dry mouth in an adult Swedish population--relation to age, sex and pharmacotherapy. , 1997,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15]  T Takehara,et al.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phur compounds and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 1995, Journal of periodontology.

[16]  K. Yaegaki,et al.  Biochemical and clinical factors influencing oral malodor in periodontal patients. , 1992, Journal of periodontology.

[17]  M. Rosenberg Bad breath, diagnosis and treatment. , 1990, University of Toronto dental journal.

[18]  I. Kleinberg,et al.  Oral malodor. , 1990, Critical reviews in oral biology and medicin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Biologists.

[19]  J. Tonzetich Oral malodour: an indicator of health status and oral cleanliness. , 1978,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20]  G. Preti,et al.  Changes in Concentration of Volatile Sulphur Compounds of Mouth Air during the Menstrual Cycle , 1978,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21]  P. Johnson,et al.  Chemical analysis of thiol, disulphide and total sulphur content of human saliva. , 1977, Archives of oral biology.

[22]  T. O'Leary,et al.  The plaque control record. , 1972, Journal of periodontology.

[23]  J. Tonzetich,et al.  Odour production by human salivary fractions and plaque. , 1969, Archives of oral biology.